FDMA2 이동통신의 세대 변화 - (1) 1G부터 3G까지 이동통신이란 장소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이동하더라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기술이다. 이동통신 기술은 대략 10년 주기로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각 세대를 1G부터 5G(Generation)로 구분한다. 1G(1980년대) : 최초의 상업 이동통신 서비스 1G 휴대폰은 차량용 '카폰' 형태였다. 차량주변에서는 통화가 가능했지만 벗어나면 통신이 되지 않았다.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단말끼리 서로 분할하여 나눠서 사용하는 방식인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였다. 단말기를 통해 주로 통화를 했기 때문에, 음성 신호를 주파수만 변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전달하는 FM(Frequency Modulation) 방식을 사용하였다. 인접 주파수 간섭으로 인해.. 2022. 12. 1. Multiple Access(다중 접속)란? - (1) FDMA, TDMA, CDMA 다중 접속/다원 접속(Multiple Access, MA)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UE, User Equipment)까지 간섭 없이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한 기술이다. Cell 마다 위치한 기지국에는 수많은 UE가 연결되지만, 간섭없이는 이 모든 단말기들과 동시에 통신할 수없기에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중접속 기술이 필요하다. 한정된 통신 자원(주파수, 시간, 공간 등)에서 각 사용자들은 MA(Multiple Access, 다중 접속)를 통해 데이터의 끊김없이 통신할 수있다. 하지만 Muliplexing(다중화)와는 약간 다르다. Multiplexing(다중화)과 Multiple Access(다중 접속)의 차이점 Multiplexing은 여러 신호를 하나로 합쳐서 하나의 output 신.. 2022. 9.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