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기지국 및 RAN(Radio Access Network)의 구조는 일체형 기지국 형태로, DU(Data Unit)와 RU(Radio)가 같이 설치되었으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쿨링을 위해 모든 장비가 한 공간에 모두 설치되었다. 커버리지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이 모든 장비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새로운 RAN구조가 C-RAN(Centralized/Cloud RAN) 구조이다.
C-RAN(Centralized RAN or Cloud RAN)
C-RAN은 기존에 일체형이었던 DU와 RU를 분리하여, DU는 데이터 센터에 집중화하고, DU와 다른 장소에 RU를 분산시키는 구조이다. 3G에서는 CN(Core Network)인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Node B를 컨트롤하였다. 하지만, 만약 RNC에 문제가 발생하면 RNC와 연결된 Node에도 전부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간적으로 분리된 DU과 RU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는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이다
D-RAN(Distributed RAN)
D-RAN(Distributed RAN)은 RNC에 집중되어 있던 역할을 전부 분산화하는 구조이다. D-RAN은 각 Node 간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 Node별로 주파수를 Sharing할 수 없다. Resource가 Node별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Control과 유지가 어렵고, Cell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보드를 새로 추가해야 하므로 쉽게 확장할 수 없다. 분산화시킨 구조이긴 하지만 Centralized된 시스템이 필요하긴 하다.
'Access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D(Time Division Duplexing),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란? (0) | 2022.10.26 |
---|---|
DL-UL Decoupling이란? (0) | 2022.10.24 |
DSS(Dynamic Spectrum Sharing)란 무엇인가? (0) | 2022.10.01 |
ENDC(E-UTRAN New Radio Dual Connectivity)란 무엇인가? 진짜 5G와 가짜 5G? (0) | 2022.09.28 |
Beamforming 이란 무엇인가?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