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안에서의 통신을 위해서는 Frequency Resource를 사용하는데, 이때 Frequency가 의미하는 건 Frequency Band를 의미한다. Frequency Band란, Frequency들의 집합체라고 생각하면 된다. Band별로 주파수 대역 사용 영역이 규격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원하는 Band라고 해서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다. 하나의 Cell에는 항상 하나의 Band로만 구성되므로 같은 Cell 내에서의 DL과 UL은 같은 밴드에 속해있는 Channel이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와 TDD(Time Division Duplexing)
Duplexing이란, 수신부와 송신부끼리의 쌍방향 통신을 의미한다. DL과 UL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 Frequency와 Time중 어느 resource를 나눠서 통신할지에 따라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와 TDD(Time Division Duplexing)로 구분할 수 있다. Band별로 FDD와 TDD 중 어떤 Duplex mode를 사용해야 하는지는 이미 정해져 있다.
- Full Duplex : 송신부와 수신부가 각각 독립된 Channel을 사용하는 통신 방식. (ex) 전화망, 데이터 통신
- Half Duplex : 한 쪽이 송신하면, 다른 쪽은 무조건 수신하는 통신 방식. (ex) 센서 네트워크
- Simplex :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 가능한 통신 방식. (ex) CCTV
DL-UL Decoupling과 FDD-TDD의 차이
하나의 Cell에서는 반드시 같은 Band를 사용해야 하는데, 같은 Cell 내에서 DL과 UL을 다른 Frequency를 사용하면 FDD이다. DL-UL Decoupling은 DL과 UL이 다른 Frequency Band, 즉, 다른 Cell에 존재한다. 추가로 덧붙이면 각각 다른 Cell에 있기 때문에 TDD, FDD를 사용할 수도 있다.
FDD와 TDD의 장단점
- Channel Measurement : FDD는 DL과 UL이 서로 다른 Frequency를 사용하기 때문에 Channel에 대한 분석 및 측정을 각각 따로 진행해야 한다. TDD의 경우는 같은 Frequency를 사용하여 양방향이 같기 때문에 Channel 분석에 큰 어려움이 없다.
- DL-UL의 Capacity : 데이터 트래픽이 한 쪽으로 몰리는 경우 Resource를 나눠주어 트래픽을 분산시켜주면 효율적이다. FDD의 경우는 DL과 UL이 사용하는 Frequency가 한정되어 있어 Resource 분배가 불가능하지만, TDD는 가능하다.
- Guard Band/Period : Capacity 영향이 작다 - Capacity 영향이 크다
- Discontinuous Transmission : FDD의 경우는 다른 Spectrum을 사용하기 때문에 DL과 UL 간의 데이터가 서로 영향 및 간섭이 없지만, TDD의 경우는 서로 영향이 발생한다.
- Slot Interference : 인접 Cell에서 같은 시간대에 slot이 assign된 경우에는 TDD에서 영향이 있다.
'Access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AN, V-RAN이란? (0) | 2022.10.27 |
---|---|
DL-UL Decoupling이란? (0) | 2022.10.24 |
DSS(Dynamic Spectrum Sharing)란 무엇인가? (0) | 2022.10.01 |
ENDC(E-UTRAN New Radio Dual Connectivity)란 무엇인가? 진짜 5G와 가짜 5G? (0) | 2022.09.28 |
Beamforming 이란 무엇인가? (0) | 2022.09.25 |